ASP 트로이잔 Webshell의 예방 및 문제해결방법
Source from:[S.S.R.E.T]ServersTeam.Org [F.N.S.T]Fineacer.Org
url:http://www.Serversteam.org/docs/Microsoft_Win_ASP_Webshell_Security.htm
개요:본문에서는 Microsoft 윈도우 계열의SERVER (IIS5.0、IIS6.0)에서 간단하고 빠르게 ASP 위험성 있는 컨포넌트를 WEB서버 시스템으로부터 멀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본문을 읽는 후 자기가 관리하고 있는 서버를 asp 트로이잔, Webshell 권한상승 및 시스템 보안위협 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본문:
주의:본문에서 언급된 설정방법 및 설정환경은:Microsoft Windows 2000 Server/Win2003 SERVER | IIS5.0/IIS6.0에 적용함.
1、우선 일반적인ASP트로이잔을 살펴본다, Webshell에서 사용한 ASP 컨포넌트는 아래와 같다. 중국산 webshell인 HY2006를 예를 들어보면,
<object runat="server" id="ws" scope="page" classid="clsid:72C24DD5-D70A-438B-8A42-98424B88AFB8"></object>
<object runat="server" id="ws" scope="page" classid="clsid:F935DC22-1CF0-11D0-ADB9-00C04FD58A0B"></object>
<object runat="server" id="net" scope="page" classid="clsid:093FF999-1EA0-4079-9525-9614C3504B74"></object>
<object runat="server" id="net" scope="page" classid="clsid:F935DC26-1CF0-11D0-ADB9-00C04FD58A0B"></object>
<object runat="server" id="fso" scope="page" classid="clsid:0D43FE01-F093-11CF-8940-00A0C9054228"></object>
shellStr="Shell"
applicationStr="Application"
if cmdPath="wscriptShell"
set sa=server.createObject(shellStr&"."&applicationStr)
set streamT=server.createObject("adodb.stream")
set domainObject = GetObject("WinNT://.")
이상은 HaiYang webshell의 일부 소스다, webshell에서는 아래 여러 종류의 ASP컨포넌트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① WScript.Shell (classid:72C24DD5-D70A-438B-8A42-98424B88AFB8)
② WScript.Shell.1 (classid:F935DC22-1CF0-11D0-ADB9-00C04FD58A0B)
③ WScript.Network (classid:093FF999-1EA0-4079-9525-9614C3504B74)
④ WScript.Network.1 (classid:093FF999-1EA0-4079-9525-9614C3504B74)
⑤ FileSystem Object (classid:0D43FE01-F093-11CF-8940-00A0C9054228)
⑥ Adodb.stream (classid:{00000566-0000-0010-8000-00AA006D2EA4})
⑦ Shell.applicaiton....
2: 해결방법:
① 아래 위험성 있는 ASP 컨포넌트를 삭제 혹은 명칭을 변경한다.
WScript.Shell、WScript.Shell.1、Wscript.Network、Wscript.Network.1、adodb.stream、Shell.application
[시작->실행->Regedit]을 실행하여 레지스토리를 수정한다. “Ctrl+F”으로 찾기를 실행한다. 순서대로 위에 Wscript.Shell등 컨포넌트의 명칭 혹은 그와 매칭한 ClassID을 입력한다. 해당 명칭을 삭제하거나 변경한다. (여기서 명칭변경을 권장한다. 만약 일부 웹 페이지의ASP프로그램에서 위에 열거한 컨포넌트를 사용했다면, ASP코드작성시 수정된 컨포넌트의 명칭을 사용하면 모든 것이 정상적 사용을 가능하다. 만약 ASP프로그램에서 이상의 컨포넌트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삭제하는 것이 좋다. 삭제 혹은 명칭 변경 후, iisreset으로 IIS재 동작 후 적용한다.)
[주의:Adodb.Stream 컨포넌트는 많은 사이트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만약 서버가 Virtual machine 이면 상황에 따라 조치 바람.]
② File System Object (classid:0D43FE01-F093-11CF-8940-00A0C9054228) 보안 문제에 대해 만약 서버에서 FSO를 사용해야 한다면(일부 Virtual Machine에서는 FSO기능을 사용함), FSO보안 해결방법은 “Microsoft Windows 2000 Server FSO 安全隐患解决办法” 문서를 참고하시길 바란다. 사용할 필요 없는 경우 직접 사용중지 하면 된다.
③ 사용중지 혹은 위험성 있는 컨포넌트를 삭제하는 방법:(방법① 및 방법②를 번거롭다고 생각하는 분은 본 방법을 참고함.)
wscript.shell 오브젝트를 해제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cmd 모드에서[:regsvr32 /u %windir%\system32\WSHom.Ocx]를 실행한다.
FSO 오브젝트를 cmd 에서 아래 내용을 실행하여 해제한다. [regsvr32.exe /u %windir%\system32\scrrun.dll]
stream 오브젝트의 해제는 cmd에서 [regsvr32 /s /u "C:\Program Files\Common Files\System\ado\msado15.dll" ]를 실행한다.
만약 실행취소를 원한다면 위에 명령에 [/U] 옵션만 제거하면 된다. 즉, 관련 ASP컨포넌트를 재실행 가능하다. 예를 들면, regsvr32.exe %windir%\system32\scrrun.dll
④ Webshell 중에 set domainObject = GetObject("WinNT://.")을 사용하여 서버 프로세스, 서비스 및 사용자 정보 등을 획득하는 것에 대한 예방 방법은 아래와 같다. 서비스 중의 Workstation[네트워크 연결 및 통신을 제공함] 즉, Lanmanworkstation서비스를 중지하면 문제해결 된다. 이렇게 처리하면 Webshell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곳에 공백으로 표시된다.
3 위에 방법1、2에 따라 ASP관련 위험한 컨포넌트에 대해 처리 후, Ajiang asp probe으로 테스트하면,"서버CPU상세내역" 및 "서버운영체제"를 찾을 수 없으며 내용은 모두 공백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HaiYang을 사용하여 Wscript.Shell를 테스트 하면, cmd commend line에서 Active를 만들 수 없다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된다. ASP 트로이잔이 서버 시스템에 대한 보안 위협을 완화할 수 있다.
본문에서 소개한 내용은 단지 본인이 ASP트로이잔、Webshell에 대한 소견뿐이다. 향후 여러분께 어떻게 간단하게 타인 컴퓨터에 net user 와 같은 명령의 실행을 방지하고, 버퍼 오버플로우를 통해 cmdshell 획득을 방지 및 사용자 추가의 방지, NTFS 설정권한에서 터미널 서비스 등록 등에 대한 간단하고도 효과적인 방어방법을 소개할 예정이다.
저자: 李泊林/LeeBolin
[S.S.R.E.T 服务器安全研究专家小组 CTO] Http://www.serversteam.org
[F.N.S.T 情长计算机网络安全在线 技术顾问] Http://www.fineacer.org
E-mail:leebolin#serversteam.org QQ:24460394 본문관련 질문 사항은 메일 혹은 QQ에 연락하시길 바람
영삼넷
Categories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Statistics
- Total Visitors:
- 523783
- Today:
- 68435
- Yesterday:
- 9751615
IT강국 김영삼 블로그에 오신걸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2002 영삼넷 // openkr
©2002 영삼넷 // openkr